제주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연 조회 250회 작성일 20-07-09 15:37 댓글 0건본문
제주어가 언제부터 본토 한국어와 의사소통이 안 되었는지 그 정확한 근원은 찾기 힘들지만, 제주어가 본토 한국어와 소통이 되지 않았던 것은 고대에도 마찬가지였는지 정사 삼국지와 후한서를 보면 주호국(탐라국의 전신으로 추정)의 언어가 한(韓)과 다르다는 얘기가 언급되어 있다. 적어도 삼국 시대 이전시기부터 타 지방 언어와 크게 차이가 났다는 얘기이다. 이후 탐라국이 건국된 후에는 고대 문헌자료가 미비해서 기록을 찾아보기 쉽지는 않은데, 자료가 극히 부족하지만 가령 삼국사기, 신당서 등에는 7세기의 탐라국왕 이름으로 유리도라, 도동음률 등이 등장하는데 같은 시기 백제인이나 신라인들의 인명과는 그 체계가 다르다. 한반도에서 떨어진 지리적 특성 상 백제, 신라, 고려 순서로 속국이 되고 편입되기 전까지 제주어는 탐라국 시대 중에도 독특한 언어학적 특성을 가졌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 이전글제주 100년 20.07.09
- 현재글 제주어
- 다음글다이빙지로서의 지형특색 20.05.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